감정평가사시험
안녕하세요. 감정평가사학원 랜드잇입니다.
오늘은 감정평가사1차 합격을 위해 준비하고 계신 분들을 위한 내용을 다루려고 합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감정평가사 과목별 알아두면 좋은 공부 꿀팁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감정평가사1차합격을 위해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2025 얼리버드 1차 원패스 수강신청 - 바로가기]
목차
1. 합격을 위한 1차 공부 방법은?
2. 감정평가사 시험 대비 공부 전략은?
3. 효율적인 시험 대비 전략은 무엇인가요?
4. 회계 과목 공부 전략은 무엇인가요?
5. 효과적인 회계 공부 전략은 무엇인가요?
6. 회계 공부를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요?
7. 경제 과목 학습 어떻게 할까요?
8. 민법을 주체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은?
9. 감관법 공부를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요?
10. 문제 풀이 전략은 어떻게 세웠나요?
11. 1차 시험 준비는 어떻게 하나요?
12. 감정평가사 1차 공부 방법은?
9. 감관법 공부를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요?
[감정평가사 합격수기 | 생동차 합격을 위해 1차는 얼마나,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 바로가기]
안 평가사: 감관법은 몇 점 받으셨나요?
이유곤 평가사: 70점을 받았습니다. 감관법은 핵심 요약 강의와 파이널 강의만 들었고, 기본 강의나 문제풀이 강의는 듣지 않았습니다.
안 평가사: 기본 강의를 듣지 않은 이유가 있을까요?
이유곤 평가사: 일단 시간이 많이 없었고, 감관법은 복잡한 이해나 체계가 필요 없는 과목이라고 들었어요.
선배들에게 물어봤을 때, 그냥 냅다 암기하면 되는 과목이라는 조언을 많이 받았거든요. 그래서 마지막에 할수록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했어요.
강의 중에 '이거 기본 강의에서 했지?' 같은 말이 많이 나오긴 하지만, 초반에 그 부분을 참아내면 결국은 큰 차이가 없다고 느꼈어요.
불안했지만, 선배들이 괜찮다고 했던 이야기를 듣고 마음을 다잡았죠.
안 평가사: 감정평가관계법규(감관법)와 민법 모두 암기 과목인데, 두 과목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이유곤 평가사: 민법은 암기이긴 하지만 근본이 있는 학문이죠. 그래서 구조를 잡아가면서 암기하면 휘발성이 적다고 생각했어요.
반면에 감관법은 정말 영단어 외우듯이 암기해야 하는 과목이었어요.
그래서 감관법은 마지막에 집중적으로 암기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안 평가사: 그러면 감관법 공부에서 체계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셨나요?
이유곤 평가사: 체계가 있긴 하지만, 그게 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기본 강의를 듣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저는 문제 풀이에 집중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어요.
물론 초반에는 '나만 이 내용을 모르는 것 같다'라는 불안감이 있었지만, 그걸 견디는 것이 중요했어요.
안 평가사: 감관법에서는 기본서를 몇 회독하셨나요? 그리고 문제집은 몇 회독하셨나요?
이유곤 평가사: 감관법 기본서는 아예 구매하지 않았고, 요약서도 강의를 듣기 위해서만 사용했어요. 필기나 단권화는 따로 하지 않았습니다.
대신에 200문제를 엮어서 그 자체로 단권화해서 외웠습니다. 이 200문제는 파이널 강의에서 주어진 문제들입니다.
안 평가사: 200문제만 외우면 충분하다고 생각하셨나요?
이유곤 평가사: 네, 감관법은 특정 논점에 대해서만 물어보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융합 문제없이 특정 문제만 외우면 충분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처음에는 200문제를 풀었지만, 나중에는 문제를 풀기보다는 문제 자체를 세분화해서 외우는 방식으로 공부했습니다. 그 논점에 대해 반복해서
묻기 때문에, 문제 풀이를 반복할 필요 없이 논점에 대한 암기를 강화했죠.
안 평가사: 결국 감관법에서는 핵심 문제를 집중적으로 암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말씀이시군요.
10. 문제 풀이 전략은 어떻게 세웠나요?
[감정평가사 합격수기 | 생동차 합격을 위해 1차는 얼마나,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 바로가기]
안 평가사: 감관법에서 200문제를 엮어서 외웠다고 하셨는데, 그 외에도 추가로 외운 부분이 있었나요?
이유곤 평가사: 네, 200문제 중에서 선생님이 중요하다고 강조한 다섯 가지 쟁점만 외우는 게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욕심이 생기면 6번, 7번 지문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200문제에서 나오지 않은 건 과감하게 버렸어요.
그게 빠르고 안정적으로 득점을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안 평가사: 중요한 지문을 추가하는 결정을 하셨다고 했는데, 그 판단은 어떻게 하셨나요? 중요한 지문을 놓친 경우도 있을 수 있잖아요.
이유곤 평가사: 그래서 핵심 요약 강의를 들은 겁니다. 강의 중에 선생님이 강조했지만 문제에 포함되지 않은 것들을 6번, 7번 지문으로 만들어서
외웠습니다. 예를 들어, 국토교육법의 도시군 관리 계획에서 다섯 가지는 필수적으로 외우고, 추가로 강조된 부분을 6번 지문으로 넣는 식이었죠.
만약 안 나왔던 부분은 찍는 거였고요.
안 평가사: 그럼 이렇게 중요한 부분을 추가해서 외우는 방식으로 공부하는 것이 괜찮다고 확신이 있었나요?
이유곤 평가사: 확신은 없었지만, 이 시험이 그렇게 엄청난 응용력을 요구하는 시험은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선배들의 경험을 많이 참고했어요. 선배들에게 물어보면서 확신을 얻은 부분이 많았고, 그들의 조언을 통해 나름의 전략을 세운 거죠.
안 평가사: 결국 핵심 문제에 집중하면서 필요할 때 추가적으로 외우는 게 중요한 전략이었군요.
특히, 선배들의 경험을 많이 참고해서 안정적인 득점을 목표로 했네요.
오늘은 감정평가사1차 합격을 위해 여러 과목에 공부 방법을 설명드렸습니다.
내용이 길어서 다음 포스팅으로 더 설명드리겠습니다.
[2025 얼리버드 1차 원패스 수강신청 - 바로가기]
#감정평가사강의,#감정평가사시험,#감정평가사1차,#감정평가사2차,#감정평가사난이도,#감정평가사시험과목,#감정평가사,#감평사,#랜드잇